Architect.(15)
-
프리츠커 수상자 렘 콜하스, 건축을 문장으로 말하는 남자
#렘콜하스 #프리츠커상 #건축가소개 #까사다무지카 #OMA #현대건축 #건축디자인 #시운방식건축 #건축블로그 #archiworker건축은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분야다. 그런데 이 사람은 오히려 문장으로 건축을 말한다. 렘 콜하스(Rem Koolhaas). 그 이름을 처음 들었을 땐 다소 낯설 수도 있다. 하지만 그의 건축을 보고 나면 이렇게 말하게 된다. "이게 건축이야?" 프리츠커상 수상자, OMA(Office for Metropolitan Architecture)의 설립자, 그리고 건축계의 대표 이론가. 설계도면보다 책과 강연으로 더 유명한 건축가. 그는 단순히 공간을 짓는 사람이 아니라, 그 공간이 어떤 이야기를 품을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사람이다. 복잡한 도시, 어지러운 사람들, 그 사이에 등장한..
2025.04.20 -
기억을 설계하는 건축가, 야마모토 리켄
기억을 설계하는 건축가, 야마모토 리켄야마모토 리켄(Riken Yamamoto)은 공동체를 설계하는 건축가입니다. 그는 단순히 건물을 짓는 데 그치지 않고, 사람들이 어떻게 만나고 교류할지, 그 사이에서 어떤 관계가 생겨날지를 고민해왔습니다. 이웃과 사회를 연결하는 공간, 모두가 주인이 되는 건축을 추구하며 2024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그는 일본 건축의 또 다른 방향을 제시했습니다.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바로 요코하마 국제학교(Yokohama International School)입니다. 기존의 폐쇄적이고 일방향적인 학교 건축과 달리, 이 건물은 완전히 열린 구조로 되어 있어 교사와 학생, 지역 주민까지도 건축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됩니다. 공간 곳곳에 마련된 열린 계단과 테라스, 공용 공간은 자연스러..
2025.04.18 -
기술과 디자인을 연결한 건축가, 노먼 포스터
기술과 디자인을 연결한 건축가, 노먼 포스터하이테크 건축의 거장 노먼 포스터. 한국타이어 테크노돔에 담긴 그의 디자인 철학과 프리츠커상 수상 이유를 통해, 기술과 디자인이 어떻게 하나의 건축 언어로 연결되는지를 살펴봅니다.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바로 한국타이어 테크노돔(Hankook Technodome)입니다. 이 건물은 한국타이어의 R&D 허브로, 단순한 사옥이 아니라 기술과 혁신이 만나는 연구 플랫폼을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 노먼 포스터 특유의 유려한 곡선과 정밀한 구조적 리듬이 결합되어,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상징하는 건축물로 평가받습니다.출처 : 한국타이어내부는 협업을 위한 개방형 공간 구성과 자연채광을 극대화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친환경 인증(LEED Gold)을 획득해 지속가능성 측면..
2025.04.17 -
빛을 설계한 건축가, 렌조 피아노
빛을 설계한 건축가, 렌조 피아노렌조 피아노(Renzo Piano)는 건축을 통해 빛과 사람을 연결해온 세계적인 건축가입니다. 화려한 조형보다 기능성과 감성을 중시하며, 자연광을 공간에 담아내는 설계로 ‘빛의 마법사’라 불리죠.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미국 뉴욕에 위치한 뉴욕 타임즈 본사(New York Times Building)입니다. 이 건물은 도시 한복판에서도 자연광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건축 외피에는 수직 루버 시스템이 적용되어 태양의 고도에 따라 빛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합니다. 이는 실내 쾌적성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고려한 혁신적인 설계입니다.출처 : The New York Times building © Michel Denance렌조 피아노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과 감성..
2025.04.16 -
프리츠커상 수상자 프랭크 게리 – 해체주의 건축의 거장
🌀 비정형의 미학, 프랭크 게리프랭크 게리(Frank O. Gehry)는 1989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캐나다 출신의 미국 건축가로, 건축계에서 ‘해체주의 건축(deconstructivism)’의 대표 아이콘으로 불립니다.그의 건축은 파격적이고 유기적인 형태, 금속 패널로 구성된 파사드, 그리고 공간의 상상력을 극대화한 구성이 특징입니다. 건축은 정형적이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완전히 깨뜨린 인물로, 동시대 건축에 깊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대표작 1.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1997)스페인 빌바오에 위치한 이 미술관은 도시 재생의 상징으로 불리며, 프랭크 게리의 이름을 전 세계에 알린 작품입니다.소재: 티타늄 패널 + 유리 + 석재형태: 곡선과 곡면의 연속, 조형미 중심영향: ‘빌바오 효과’라는 ..
2025.04.15 -
프리츠커상 세번째 수상자 제임스 스털링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제임스 스털링, 현대 건축의 흐름을 바꾼 건축가영국 출신 건축가 제임스 스털링(1926~1992). 그는 1981년 세 번째 프리츠커상을 수상하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넘나들며 독특한 건축 세계를 만들어 간 인물이다. 스털링은 초기에는 모더니즘 건축을 따랐지만 점차 포스트모더니즘적 요소를 도입하며 자신만의 스타일을 구축했다. 단순한 기능주의를 넘어 형태적 실험과 과감한 색채를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그의 건축은 형태의 엄격한 질서를 따르면서도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이는 기존의 단순한 모더니즘을 넘어 보다 감각적이고 대중적인 건축의 느낌을 전달하려는 시도였다.※ 여기서 잠깐!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란?모더니즘은 기능성과 단순함을 강조하는 건축 스타일로,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202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