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ilding.(37)
-
콘크리트가 갈라진다고?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 균열 유도줄로 미리 대응하는 법
#콘크리트균열 #균열유도줄 #건축상식 #기초시공 #콘크리트팁콘크리트가 갈라진다고?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 균열 유도줄로 미리 대응하는 법'콘크리트는 언젠간 갈라진다'는 말, 사실일까요? 네, 사실입니다. 콘크리트는 시간이 지나면 반드시 갈라지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균열이 생기느냐'가 아니라, '어디서 어떻게 생기느냐'입니다. 이 글에서는 콘크리트 균열이 왜 생기는지, 그걸 어떻게 미리 통제하고 유도하는지, 특히 '균열 유도줄'이라는 아주 간단하지만 강력한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릴게요. 1. 콘크리트는 '건조 수축'으로 갈라집니다 콘크리트가 타설 후 굳어가는 과정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부피가 줄어드는 현상이 생기죠. 이걸 '건조 수축'이라고 합니다. 이때 내부 응력이 축적되다가 임..
06:04:13 -
기초 타설 끝? 강도 시험 안 하면 부실공사입니다
#콘크리트강도시험 #기초검사 #건축품질관리 #시공점검 #기초타설 기초 타설 끝? 강도 시험 안 하면 부실공사입니다기초 콘크리트를 부었다고 끝난 게 아닙니다 많은 분들이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나면 ‘이제 기초는 끝났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진짜 중요한 과정이 하나 더 남아 있습니다. 바로 콘크리트 강도 시험입니다. 강도 시험을 하지 않으면, 그 기초가 구조적으로 제대로 설계대로 시공됐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콘크리트 강도 시험이 왜 중요한지, 어떻게 진행되는지, 실무에서 꼭 챙겨야 할 포인트를 정리해 드릴게요. 1. 강도 시험은 '콘크리트 품질 확인서'입니다 설계도면에 “콘크리트 24MPa 사용”이라고 적혀 있다고 해서, 현장에서 그만큼의 품질이 나온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래서 강..
2025.04.28 -
기초공사 마무리 콘크리트 타설 올바른 순서 정리
#기초콘크리트 #기초공사 #타설순서 #건축시공 #콘크리트타설기초공사 마무리 콘크리트 타설 올바른 순서 정리왜 순서를 알아야 하냐면요, 품질이 여기서 갈립니다 콘크리트 타설은 단순히 '부으면 끝'이 아닙니다. 특히 기초공사에서 콘크리트를 어떻게, 어떤 순서로 타설하느냐는 구조물의 수명과 직결되죠. 타설 순서가 잘못되면 공극이 생기고, 철근 피복도 망가지고, 심하면 구조강도 자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기초공사의 마지막 단계인 콘크리트 타설의 올바른 순서와 포인트를 정리해 드릴게요. 1. 타설 전에 '체크리스트' 먼저 확인 타설 전에 꼭 확인해야 할 건 다음과 같습니다:폼(work form) 마감 상태: 누수, 틈새 없는지철근 피복 두께 확보 여부전기/설비 매립관 고정 상태콘크리트 펌프 및 타설..
2025.04.27 -
전기 수도 배수 배관 이렇게 안하면 바닥을 뜯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배관시공 #건축설비 #전기배관 #수도배관 #배수계획 #기초설비전기 수도 배수 배관 이렇게 안하면 바닥을 뜯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이걸 왜 미리 알아야 하냐면요, 다시 뜯는 순간 공사비가 두 배가 됩니다 배관 시공은 눈에 잘 띄지 않지만, 한 번 잘못되면 구조와 마감까지 다시 손대야 할 만큼 치명적입니다. 특히 전기, 수도, 배수는 모두 기초 바닥 속에 묻히는 작업이라서 처음 계획이 제대로 안 되면 준공 직전이라도 바닥을 다시 까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건물 짓기 전에 꼭 점검해야 할 배관 계획과 현장 포인트를 아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전기배관, 콘센트 위치보다 '배선 경로'가 더 중요합니다 전기 콘센트 위치만 생각하고 배관을 설계하면 안 됩니다. 중요한 건 콘센트로 연결되는..
2025.04.26 -
도면만 보면 안돼! 현장에서 보는 철근 배근의 포인트
#철근배근 #현장시공 #배근검토 #구조안전 #건축현장도면만 보면 안돼! 현장에서 보는 철근 배근의 포인트왜 이 글을 꼭 읽어야 할까요? 철근 배근 도면, 도면, 도면. 건축을 공부하거나 일하는 사람이라면 수도 없이 보게 되는 자료입니다. 그런데요, 도면에 나와 있다고 해서 현장에서 똑같이 시공됐을까요? 생각보다 많은 문제들이 바로 여기서 시작됩니다. 도면을 잘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장에서 어떻게 확인하느냐가 훨씬 더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도면만 믿으면 안 되는 이유'와, 현장에서 철근 배근을 어떻게 봐야 하는지에 대해 아주 쉽게, 실전 위주로 알려드릴게요. 1. 도면과 실제 시공 사이엔 항상 오차가 있다 설계는 ‘이상적인 기준’입니다. 철근 간격 150mm, 피복 두께 40mm… 종이에 그려진 ..
2025.04.25 -
기초 콘크리트 치기 전에? 거푸집 설치부터 이해하자
#기초거푸집 #건축거푸집 #콘크리트타설 #건축기초 #기초공사 #거푸집자재 #기초시공 #건축블로그 #archiworker콘크리트 타설 전에 꼭 등장하는 구조, 거푸집 건물을 짓기 위해 땅을 파고, 기초를 놓는 작업이 끝났다고 해서 바로 콘크리트를 부을 순 없습니다.그 전에 반드시 등장하는 작업이 있으니 바로 거푸집 설치입니다.콘크리트는 형체가 없는 재료이기 때문에, 딱 그만큼의 모양을 잡아줄 틀이 필요하죠.그게 바로 거푸집입니다. 기초 거푸집 설치, 어떤 순서로 진행될까요? 1. 기초 면 정리 및 레벨 확인지면 위에 바로 거푸집을 놓지 않기 때문에, 먼저 기초 면을 정리하고 높이(레벨)를 정확히 맞춥니다.2. 측판(측면 거푸집) 설치콘크리트가 퍼지지 않도록, 기초의 외곽을 둘러싸는 측판을 세웁니다.3. 보..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