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츠커상(6)
-
기억을 설계하는 건축가, 야마모토 리켄
기억을 설계하는 건축가, 야마모토 리켄야마모토 리켄(Riken Yamamoto)은 공동체를 설계하는 건축가입니다. 그는 단순히 건물을 짓는 데 그치지 않고, 사람들이 어떻게 만나고 교류할지, 그 사이에서 어떤 관계가 생겨날지를 고민해왔습니다. 이웃과 사회를 연결하는 공간, 모두가 주인이 되는 건축을 추구하며 2024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그는 일본 건축의 또 다른 방향을 제시했습니다.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바로 요코하마 국제학교(Yokohama International School)입니다. 기존의 폐쇄적이고 일방향적인 학교 건축과 달리, 이 건물은 완전히 열린 구조로 되어 있어 교사와 학생, 지역 주민까지도 건축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됩니다. 공간 곳곳에 마련된 열린 계단과 테라스, 공용 공간은 자연스러..
2025.04.18 -
기술과 디자인을 연결한 건축가, 노먼 포스터
기술과 디자인을 연결한 건축가, 노먼 포스터하이테크 건축의 거장 노먼 포스터. 한국타이어 테크노돔에 담긴 그의 디자인 철학과 프리츠커상 수상 이유를 통해, 기술과 디자인이 어떻게 하나의 건축 언어로 연결되는지를 살펴봅니다.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바로 한국타이어 테크노돔(Hankook Technodome)입니다. 이 건물은 한국타이어의 R&D 허브로, 단순한 사옥이 아니라 기술과 혁신이 만나는 연구 플랫폼을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 노먼 포스터 특유의 유려한 곡선과 정밀한 구조적 리듬이 결합되어,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상징하는 건축물로 평가받습니다.출처 : 한국타이어내부는 협업을 위한 개방형 공간 구성과 자연채광을 극대화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친환경 인증(LEED Gold)을 획득해 지속가능성 측면..
2025.04.17 -
빛을 설계한 건축가, 렌조 피아노
빛을 설계한 건축가, 렌조 피아노렌조 피아노(Renzo Piano)는 건축을 통해 빛과 사람을 연결해온 세계적인 건축가입니다. 화려한 조형보다 기능성과 감성을 중시하며, 자연광을 공간에 담아내는 설계로 ‘빛의 마법사’라 불리죠.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미국 뉴욕에 위치한 뉴욕 타임즈 본사(New York Times Building)입니다. 이 건물은 도시 한복판에서도 자연광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건축 외피에는 수직 루버 시스템이 적용되어 태양의 고도에 따라 빛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합니다. 이는 실내 쾌적성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고려한 혁신적인 설계입니다.출처 : The New York Times building © Michel Denance렌조 피아노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과 감성..
2025.04.16 -
프리츠커상 세번째 수상자 제임스 스털링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제임스 스털링, 현대 건축의 흐름을 바꾼 건축가영국 출신 건축가 제임스 스털링(1926~1992). 그는 1981년 세 번째 프리츠커상을 수상하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넘나들며 독특한 건축 세계를 만들어 간 인물이다. 스털링은 초기에는 모더니즘 건축을 따랐지만 점차 포스트모더니즘적 요소를 도입하며 자신만의 스타일을 구축했다. 단순한 기능주의를 넘어 형태적 실험과 과감한 색채를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그의 건축은 형태의 엄격한 질서를 따르면서도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이는 기존의 단순한 모더니즘을 넘어 보다 감각적이고 대중적인 건축의 느낌을 전달하려는 시도였다.※ 여기서 잠깐!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란?모더니즘은 기능성과 단순함을 강조하는 건축 스타일로,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2025.03.14 -
프리츠커상 2대 수상자 루이스 바라간(Luis Barragán)
프리츠커상프리츠커상은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릴 정도로 건축분야에서는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1979년 미국의 하얏트 호텔 그룹 창립자인 제이 프리츠커와 아내 시디 프리츠커가 프리츠커 건축상을 설립하였다. 프리츠커상 수상시 상금 10만 미국달러와 청동 메달이 전달된다. 생애와 건축 철학루이스 바라간(1902~1988)은 멕시코 출신의 건축가로, 1980년 제2회 프리츠커상 수상자다. 그는 현대 건축에서 기능주의와 기하학적 형태를 강조하면서도, 감성적이고 따뜻한 공간을 창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바라간은 프랑스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을 받았지만, 전통적인 멕시코 건축의 색감과 자연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만의 건축 스타일을 완성했다. 그는 단순한 형태 속에서도 빛과..
2025.03.12 -
건축의 노벨상 프리츠커상 한국이 받을 수 없던이유
콘텐츠 강국 대한민국이 아직 건축 노벨상인 프리츠커상이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에 대한 독자의 시선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츠커상 프리츠커 가문이 운영하는 하야트 재단에서 수여하는 상으로 '건축의 노벨상'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건축 예술을 통해 재능과 비전, 책임의 뛰어난 결합을 보여주어 사람들과 건축 환경에 일관적이고 중요한 기를 한 생존한 건축가"에게 수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근현대 건축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건축가들이 수상하는 위상이 높은 상이다. 1979년부터 매년 수상을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한국에서는 아직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미국과 일본이 최다 수상 보유국이다. 실용주의 대한민국 바로 앞전에 일본 건축가 안도 다다오에 대한 포스팅을 하면서 대표적인 건..
2022.08.23